기록

프로그래밍 본문

카테고리 없음

프로그래밍

연삐 2022. 10. 28. 18:57

프로그래밍 : 컴퓨터에게 실행을 '요구'하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래밍에 필요한것

- 무엇을 실행하기 원하는지에 대한 정의

- 컴퓨터에게 실행을 요구하기에 앞서  문제(요구사항)을 명확히 이해한 후 적절한 문제 해결 방안의 정의

 

이것을 정의하기위해 요구되는것 -> 문제해결능력

 

'문제'해결능력

문제(요구사항)을 명확히 이해하여 

(1)복잡함을 단순하게 '분해'(Decomposition)

(2)자료정리하고 '구분'(Modeling)

(3)순서에 맞게 행위를 배열

 

컴퓨터,기계는  0과 1밖에 알지 못함.

개발자는 컴퓨터에게 실행을 '요구'하기위해서는 정확하고, 상세하게 요구사항을 설명해야한다.

프로그래밍의 결과물 : code

 

문제해결능력에 요구되는것

- 컴퓨터관점 사고(Computational tinking)

- 직감

- 직관

 

 

컴퓨터관점사고 

컴퓨터의관점으로 사고하려면 논리적, 수학적사고가 필요하다.

하나의 문제를 컴퓨터에 요구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는 0과 1밖에 모르기때문에)

현재상태와 그 상태를 판단하는시기, 판단기준을 '정의' 이를 바탕으로 분해한 처리(process)의 실행여부를 결정한다.

 

판단기준은 무엇이며 어떤 상태인지 명확히 수치화하여 정의해야한다.

 

프로그래밍언어

프로그래밍을 하기위해선 인간의 '자연어'가아닌 (자연어 : 인간끼리 소통하는 언어)

컴퓨터가 이해할수 있는 언어 '기계어'로 명령을 전달해야한다. 

 

하지만 기계어는 인간이 이해하기 힘들고 2진수로 기술되어있다.

 

직접 기계어로 전달하는것을 대신할 대안은 

인간이 이해할수있는 약속된 구문(syntax, 문법)으로 구성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는것이다.

 

프로그래밍언어는  syntax(문법)와 semantics(문맥,의미)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1) 프로그래밍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2) 컴퓨터가 이해할수있는 기계어로 변환한다 (컴파일러 혹은 인터프리터)

-변환자 컴파일러 혹은 인터프리터는 프로그래밍언어와 컴퓨터언어를 모두 이해하여 번역한다.

(3) 컴퓨터가 기계어를 인지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자연어 : 인간끼리 이해할수있는 언어

인공어 : 컴퓨터와의 대화를 위해 사용하는 언어로 인간과 컴파일러|인터프리터 모두가 이해할수있는 약속된 문법을가지는 언어

기계어 : 컴퓨터가 이해할수 있는 언어

 

code

- 프로그래밍의 결과물

- 해결방안의 구체적 구현물

-프로그래밍언어의 문법에 부합해야한다.

-요구사항이 실현(문제가해결)되어야 의미가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문법

변수와 값 

키워드

연산자

표현식과 문 

조건문, 반복문에 의한 흐름제어 - 코드의 실행순서를 제어

함수 - 재사용이 가능한 문의 집합

객체,배열 등의 자료구조  - 자료를 구조화한다.

 

 

 

 

 

 

 

 

출저 : Progmamming | PoiemaWeb 

 

Progmamming | PoiemaWeb

프로그래밍은 수행되어져야 하는 명령을 컴퓨터에 전달하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때

poiemaweb.com

공부하기에 너무 도움되는 사이트입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